어떤 규칙들은 깨지기 마련이다 - 마치 대단한 첫 데이트 후에 상대에게 3일은 기다리고 전화하기와 같은 것들 말이다. 모더니스트들에게는 지켜야 할 규칙이 없으며, 규칙 자체를 거부하는 사람들이 모더니스트들이다.
모더니스트들은 1900년대부터 1930년대까지 활동하였으며, 넘지 말아야 할 선이 있다면 반드시 그 선을 넘어서고야 마는 반항아들이다. 그런 의미에서 이 사람들에게는 앞서 말했던 활동기간이 무의미할 것이다. 왜냐하면, 우리가 임의로 선택한 기간을 이 사람들은 신경 쓰지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
모더니스트들은 매우 날카로운 사람들이며, 자신들의 작품의 새로운 영역을 발견하기 위해서 전통적인 사상에서 가능한 많은 민감한 부분들을 공격하려고 하는 사람들이다. 이들은 자신들의 새로운 길을 개척하기 위해서 가능한 한 빠르고 격렬하게 구시대의 것들을 제거하기로 마음먹었던 자들이다.
그렇다면 모더니스트들이 제거하고자 했던 구시대의 것들이란 무엇일까? 여기에는 소설이나 시의 구조에서 등장인물들의 성격특징이나 이미지까지 예술의 모든 전통적인 형태들이 모두 포함된다. 이러한 전통적인 특징들은 케케묵은 오래된 유물로 간주하였다.
이들이 살았던 시대의 변화를 살펴보면 이러한 관점이 이해가 갈 것이다. 자동차와 비행기가 새롭게 생겨나 말이 끄는 마차가 필요 없어졌으며, 세계대전으로 말미암은 충격으로 세계에는 순수함이라는 것이 남아있지 않다고 보았다.
이들은 그 당시 발달했던 심리학 이론을 적용하여 등장인물의 내밀한 정신상태까지 파헤치며, 의식의 흐름이라는 새로운 기법을 통해 일차원적인 이야기 전개 방식을 관두고, 시간과 공간을 마구잡이로 뛰어넘는 이야기를 구성하였다. 또한, 운율이나 라임을 신경 쓰지 않는 자유시를 선호한다. 그리고 폭력성과 성적인 주제들을 작품의 중심으로 삼고, 독자들을 겁주고 혼란스럽게 만들고는 어떤 죄책감도 느끼지 않는다.
모더니스트는 지금 현재 우리와 공통점이 많다. 이들이 살던 시대는 엄청난 기술적 격변이 일어나던 때이다. 그 당시 세상은 무시무시한 속도로 발전하였다. 자동차와 비행기가 등장하고 전화기가 처음 등장하게 된다. 이렇게 세상이 빠른 속도로 발전하는 모습은 지금 우리에게도 낯설지 않은 모습이다. 기술적 혁신은 20세기가 시작된 이래로 전혀 누그러지지 않았다.
이들은 또한 우리의 정신을 쏙 빼놓는 기술의 엄청난 진보 외에도 새로운 심리학 이론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았다. 그 당시에 인간은 날 수 있는 동물(비행기를 통해서)이 되었을 뿐만 아니라, 오싹할 정도로 미스테리한 무의식을 소유한 동물이 되었다.
20세기초에 살았던 모더니스트들은 인간이 새로운 기술에 포위되어있으며, 기묘한 잠재의식을 갖추고 있을 뿐만 아니라, 진정한 공포 또한 만들어 낼 수 있는 능력을 갖추고 있다고 보았다. 1차 세계대전이 바로 그 예이다. 이들에게 세계대전은 인간의 순수성을 박살 내버린 악몽 같은 것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패턴은 오늘날에도 계속되고 있다. 20세기 초에는 독가스가 사용되었다면 지금은 드론을 통한 폭격이 있을 뿐이다. 전쟁의 도구가 바뀔 때, 전쟁, 죽음, 삶의 의미를 이해하는 것 또한 바뀌게 된다.
이처럼 모더니즘과 모더니스트들이 다루었던 문제는 오늘날에도 많은 관련이 있다. 성, 정신, 공포, 기술 등 모더니스트들이 탐구하였던 주제 중 어느 것도 지금의 현실과 동떨어져 있지 않다. 오히려 더 신선해지고 있다.
모더니즘의 10가지 특징
(1) 아방가르드
"Avant-garde"라는 단어는 프랑스 군대용어에서 유래되었다. 이는 군대의 나머지 앞에 나와 있는 선봉대(vanguard)를 의미한다. 이처럼 군대의 선봉에 서는 것은 누구나 다 알 듯이 무척 위험한 일이다.
또한 아방가르드는 새로운 예술을 만드는 것을 의미하기도 한다. 새로운 예술을 창작하는 것은 위험한 일이 될 수 있다. 예술가들은 전장에 참여하여 시대에 뒤떨어진 전통 세력과 대항하며, 구체제의 살아남은 흔적들을 공격하고, 해치우고, 파괴한다. 구식의 것들과는 이별하며, 새로운 것과는 함께 가는 것이다.
예술적 실험의 목적은 단지 짧은 관심을 받는 것이 아니다. 예술과 예술가들에게 새로운 역할을 부여하고 새로운 질서가 존재하도록 도와주는 것이다.
모더니즘은 또한 예술매체 사이의 경계선을 흐리게 하는 경향이 있다. 모더니스트 작가들은 시각예술가와 많은 시간을 어울렸고, 이 두 예술은 상호영향을 받는 경향이 있다.
특히 큐비즘이나 초현실주의 같은 예술운동은 모더니즘 작가들에게 많은 영향을 주었다. 가능한 모든 각도에서 바라본 그림을 그렸던 이들처럼, 문학 작가들도 그런 방식으로 작품을 완성하였다.
(2) 도시
현대 도시는 다양한 문화와 언어의 도가니이다. 도시는 퓨전레스토랑이나 민족시장처럼 숙성된 다양한 생각들로 가득 차 있다.
모더니즘 작가들은 파리, 런던, 시카고, 뉴욕 같은 대도시에서 주로 모였을 뿐만 아니라, 그들의 작품의 배경을 이러한 대도시로 설정하였다.
모더니즘은 일상적인 장소, 평범한 사람, 언어가 예술에 적합하지 않다는 생각에 콧방귀를 꼈다. 이들은 어떤 주제, 장소, 언어든 예술적인 목적으로 변환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
도시는 그러한 모더니즘 작가들의 세계의 중심이었고, 그들이 도시에 대해 불평하던, 찬양하든 간에 도시는 일반적으로 모더니즘 작품의 중요한 특징이다.
(3) Imagism and Vorticism
Ezra Pound는 당대의 가장 중요한 시인 중 한 명일 뿐만 아니라, 사람들의 관심을 끄는 데도 능력이 탁월했다. 이 재능은 그가 초년에 불멸의 시를 만들어 내는 규칙을 발견하는 척하는데 도움을 주었다. 하지만 실제로 그가 한 것은 자신이 좋아하고, 주변 사람들이 이미 썼던 시를 묘사하는 것이었다.
1912년과 1913년 파운드는 Imagism을 만들어 냈다. Imagism에는 3가지 중요한 기준이 있었다.
1. 직접적이고, 꾸미지 말아야 하며
2. 단어는 검소해야 하며
3. 자유시로 작성되어야 한다. 혹은 적어도 바로 직전에 사용되던 시의 형태를 사용해서는 안 된다.
파운드는 그의 연인인 Hilda Doolittle을 첫 번째 imagiste로 임명하였다.
비록 우리는 "image"라는 단어를 "metaphor"(은유)나 "simile"(직유)와 상호교환적으로 사용하는 경향이 있지만, 파운드는 이것 이상의 복잡한 무엇인가를 마음속에 생각하고 있었다. "Image"에 대한 파운드의 정의는 한순간에 지적이고 감정적인 복잡함을 나타내는 것이었다.
그래서 기본적으로 매우 짧은 시간 안에 그 순간까지 연결되어있지 않았던 많은 다른 생각들을 연결지어야만 하고, 감정적이고 정신적으로 통찰력을 불러일으킬 만한 새로운 방식으로 이 작업을 수행해야 한다. 또한, 사람들이 일반적으로 세상을 바라보는 방식과 그것에 대해 느끼는 방식을 완전히 바꾸어야 한다.
그러나 1914년 Imagism의 신선한 광택이 사라지게 된다. 너무 많은 흉내 내는 사람들이 Imagism의 깃발을 휘날렸다. 그래서 파운드는 스스로 Imagism에서 벗어났고, 자신과 자신이 받아들인 사람들을 Vorticists라고 선언하였다.
파운드는 Vorticism과 연관된 작품을 제시하기 위해 1914년 6월 Blast라는 잡지사를 설립한다.
Vorticism은 Imagism과 매우 비슷하지만, Vorticism은 시에서만이 아닌 모든 예술을 나타내었다. 파운드는 vortex를 "생각들이 계속해서 돌진하며 나오고 들어가는 빛나는 중심 혹은 다발"이라고 묘사하였다. 요약하면 가능한 많은 생각을 아름답게 작품 속에 밀어 넣는 것이다.
(4) 재즈시대
1920년대는 가능한 모든 방식으로 한계를 초월하던 때였다.
그 중 재즈는 미국의 진정한 첫 번째 예술형태로 여겨졌다. 재즈는 단지 음악의 한 장르가 아니라 모든 삶의 방식을 나타냈다. 즉 답답한 사회에 대한 다양하고 자유로운 대안으로 여겨졌다.
재즈시대는 아프리카계 미국인들이 미국문화의 주류로 편입되던 시기이다. 그 당시 악명높은 Jim Crow Laws 때문에 수천 명의 아프리카계 미국인들은 경제가 어려운 미국 남부를 떠나 미국 북동부와 중서부의 도시로 이동하였다. 이들은 재즈 음악의 탄생을 촉진했고, 이 당시 생겨난 재즈클럽은 루이 암스트롱 같은 음악가들이 명성을 얻을 수 있도록 도와주었다.
그러나 재즈 음악만이 재즈 시대를 대표하는 유일한 것은 아니다. 이 시대의 특징으로는 술이 있다. 이 당시 미국 수정 헌법 제18조가 19120년 통과되었고, 이 법은 주류를 유통하는 것을 금지하였다. 그러나 이 법 탓에 욕조에서 만든 진이나 캐나다에서 밀수한 위스키가 퍼지게 되었다.
사람들은 일반적인 bar를 떠나 무허가 술집이나 <위대한 개츠비>에서 묘사되는 개인 사교파티로 향했다. 이러한 상황에서 이전에는 보기 힘들던 일이 생기기 시작했다. 즉, 여성이 이러한 사회모임에 참여할 기회가 생겼다. 전통적으로 bar는 남성들만의 전유물이었다. 그러나 불법적인 무허가 술집들은 그렇게 까다롭게 굴 수 있는 처지가 아니었고, 이는 여성들이 남성들과 함께 역사상 처음으로 어울릴 수 있게 되었다는 것을 의미했다.
(5) 잃어버린 세대(The Lost Generation)
Gertrude Stein은 자신의 차를 수리했던 수리공의 말을 인용하여, 그녀의 파리 살롱에 참여한 어린 예술가들과 작가들에게 잃어버린 세대라고 지칭하였다고 한다. 어니스트 헤밍웨이는 이 말을 빌려 그의 첫 번째 소설, The Sun Also Rises의 인용구로 사용하였다.
이 수리공은 18~24살의 나이가 사회의 문명화된 시민으로 태어날 수 있는 기간을 특징짓는다는 생각을 하고 있었다. 그러나 1차 세계대전에 참전하였다가 돌아온 군인들은 그러한 중요한 시기를 놓칠 수밖에 없었다. 게다가 이들은 현대 전쟁 때문에 참혹한 트라우마를 앓고 돌아왔다.
모더니즘은 전쟁터 안과 밖에서의 급격한 기술적 변화의 시대를 나타내기도 했다. 물론 이러한 변화는 긍정적으로 볼 수도 있지만, 또한 부정적인 것으로도 볼 수 있다.
비행기를 예로 들면, 교통수단으로서 엄청난 혁신이었지만, 전쟁에서는 가공할만한 살인 도구였다. 항공사진술은 공중에서의 폭격을 더욱 정밀하게 만들었다. 기술의 발전으로 전쟁은 이전보다 훨씬 더 끔찍해졌다.
이러한 점을 고려해볼 때, 젊은이들이 새롭게 나타난 혁신과 전통적인 지혜에 의문을 갖기 시작한 것은 놀라운 일이 아닐 것이다. 정부 당국(전통적인 지혜의 대역으로서)은 젊은이들을 전장으로 보내버렸고, 전쟁무기에서의 혁신과 발전은 이 젊은이들을 학살하고 불구로 만들었으며, 전쟁이 끝난 후에도 기억 속에 남아 끊임없이 괴롭혔다. 따라서 이러한 경험을 한 세대가 아무도 믿지 못하게 된 것은 놀랍지도 않은 일이다. 그리고 만약에 우리가 누구를 믿을지 알지 못한다면, 잃어버렸다는 느낌이 드는 것은 당연할 것이다.
(6) 새롭게 만들기
이 시대의 가장 영향력 있는 시인 중 한 명인 에즈라 파운드는 새롭게 만들라는 주의를 자주 선언하였고, 심지어 그의 책 제목으로 만들기도 하였다.
파운드와 그의 동료는 과거의 모든 것을 버리고 싶어했던 Futurists와 Dadaist와는 의견이 달랐다. 파운드는 고대의 전통을 추구하고 작품에서 그것들을 사용하였다.
작가이자 학자였던 파운드는 중국과 일본전통문학에 관한 최신 연구들을 조사했고, 몇몇 중국 고전 작품을 번역을 하였다.
파운드는 시대에 뒤진 모든 생각과 전통을 관두기보다는, 시인과 예술가들이 과거의 잡동사니들을 모아 다른 목적으로 바꾸어야 한다고 느꼈다. 이를 통해 만들어진 작품들이 문명을 보존하게 해줄 것으로 생각했다.
(7) 새로운 패러다임(New Paradigms)
20세기 초반은 과학에서 혁신이 폭발적으로 일어나던 때이다. 그 당시 물리학은 엄청난 발전을 하였다. 새롭게 발견되는 과학적 사실과 고대문명에 대한 새로운 발견이 모더니스트들에게 많은 영향을 주었다.
이 당시 종교적 믿음은 과학에 우주와 세상을 이해하는 지배적인 방식으로서의 자리를 내주었지만, 유대교, 동양의 종교, 고대신화가 새로운 자리를 차지하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시대는 지배적인 패러다임의 변화를 나타내며, 사람들의 사고방식에서의 거대한 변화는 혼란스럽긴 하지만 굉장한 작품들을 만들어 내었다.
(8) Revolution
모더니스트들의 전성기는 과학과 철학이론에서만 혁명적인 사건이 일어나던 때가 아니다. 이 당시는 말 그대로 혁명과 반란의 시기였다.
러시아의 황제 니콜라스는 약하고 무력한 지도자였다. 그의 정부는 부패했었고, 1차 세계대전에 참전한 군인들은 전쟁에 준비되어있지 않았고 많은 수가 죽었다. 그리고 러시아의 빈부격차도 매우 심했다. 이러한 상황이 썩 즐겁지 않았던 사람들은 1917년 볼셰비키 혁명을 일으키게 된다.
미국에서는 여성의 참정권에 대한 운동이 불처럼 타올랐다. 이 운동은 1921년 수정헌법 19조의 통과와 함께 절정에 이르렀고 마침내 여성에게 투표권을 부여하게 되었다.
세계 곳곳에서 노동자계급은 노동조합을 형성하였다.
모더니스트들은 이렇게 정치적 불안에 관심이 많았다. 한 예로 어니스트 헤밍웨이는 기자 신분으로 스페인 내전을 취재하기 위해 스페인으로 향했고, 이러한 경험을 통해 결국 그의 가장 유명한 소설 중 하나를 쓰게 되었다.
(9) 의식의 흐름(Stream of Consciousness)
프로이트의 무의식에 대한 이론은 사람들이 정신에 대해 이해하는 방식을 완전히 바꾸어 놓았다. 그러나 모더니즘 문학에 관해서는 윌리엄 제임스의 의식의 속성에 관한 이론들이 더 큰 영향을 끼쳤지만, 대부분의 사람은 이를 알지 못하고 있다.
윌리엄 제임스는 근본적 경험론(Radical Empiricism)이라는 이론을 썼다. 이 이론은 통합된 자아의 존재에 대해 의구심을 품는다. 즉, 지금의 자신은 5년 전의 자신 혹은 겨우 5분 전의 자신과도 다르다는 것을 의미한다. 우리는 모두 연속하는 자아의 집합체이고 자아는 이 세계에서 분리될 수 없다. 즉, 우리가 보는 것이 바로 우리 자신이다.
윌리엄 제임스는 그의 형제인 소설가 헨리 제임스와 의식에 관한 관점을 공유하였다. 당연하게도, 헨리 제임스는 초기에 윌리엄 제임스의 이론을 반영한 작품을 썼던 소설가였다.
Gertrude Stein 또한 윌리엄 제임스와 가까운 사이였다. 사실 윌리엄 제임스는 슈타인의 멘토였다. 슈타인은 제임스의 수업을 수강하던 학생이었는데, 마지막 시험에서 슈타인은 아무것도 쓰지 않은 시험지를 제출하였다. 그러나 제임스는 슈타인에게 A 학점을 주게 된다.
비록 몇몇 비평가들이 슈타인의 작품을 큐비스트적이라고 평하지만, 윌리엄 제임스의 이론들이야말로 슈타인의 전위적인 기법을 제대로 설명할 수 있을 것이다.
소설에서의 의식의 흐름 기법은 영화계에 비슷한 시기에 소개된 기법을 연상시킨다. 그 기법은 몽타주(montage)이며, 러시아의 영화제작자 Sergei Eisenstein이 처음 만들어 낸 것이다. 이 방법들은 오늘날 보기엔 매우 당연한 것처럼 보이지만, 그 당시엔 매우 혁신적인 시도였다.
(10) 무의식
여기서 말하는 무의식이란 프로이트의 이론에서 나오는 개념이며, 우리의 마음속 깊은 곳에서 요동치는 동물적인 욕구와 열망을 의미한다.
프로이트는 정신분석학을 처음 시작하여, 사람들의 사고방식을 바꾸었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하다.
프로이트의 가장 중요한 이론 중 하나는 우리의 정신이 세 부분으로 나누어져 있다는 것이다.
1. ego는 우리의 의식을
2 superego는 일종의 센서 역할을 하는 부분인데, 꿈이나 사고에서 발생하는 더러운 부분을 차단하여 그것이 의식(ego)의 연약한 민감성을 공격하지 못하도록 하는 부분이고
3. id는 원시적인 열망과 본능이 지배하는 야성적인 무의식이다.
프로이트는 인간이 원시적인 욕구를 억제함으로써 문명화되었다고 믿었다.
그는 또한 사람들의 행동 원인을 이해하고 싶어했다. 그래서 그는 꿈의 언어를 해독하고자 하였다. 왜냐하면, id가 가장 자유롭게 활동할 수 있는 부분이 꿈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러한 작업은 쉽지 않았다, 왜냐하면 꿈의 언어는 논리에 기반을 둔 것이 아니었기 때문이다.
프로이트의 이러한 사상은 인간의 일상적인 부분보다 정신적인 부분을 강조했던 예술가와 작가들에게 많은 영향을 끼쳤다. 그리고 이것이 모더니즘 작품들이 해독하기 어려울 정도로 난해한 이유 중 하나이다.
'영미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The Hollow Men by T.S. Eliot (0) | 2016.04.20 |
---|---|
문학운동 - 낭만주의 (1) | 2016.04.20 |
La Belle Dame Sans Merci by John Keats [해석/분석] (0) | 2016.04.10 |
Do not go gentle into that good night by Dylan Tomas[해석/분석] (3) | 2016.04.09 |
In a Station of the Metro by Ezra Pound [해석/분석] (0) | 2016.04.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