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안녕하세요.
최근 환율이 1500원까지 오르면서
"지금 미국 주식을 사도 될까?" 고민하는 분들이 많습니다.
오늘은 왜 환율이 높아도 미국 주식을 사야 하는지
논리적으로 설명해드리겠습니다.
1. 환율이 높아도 미국 주식을 사야 하는 이유
"환율 1500원이면 미국 주식 투자는 끝난 거 아닌가?"
결론부터 말하면, 그렇지 않습니다.
미국 주식은 장기적으로 성장성이 크고,
환율 변동보다 기업 가치 상승이 훨씬 중요하기 때문입니다.
지금 당장 비싸 보일 수 있지만,
시간이 지나면 환율보다는 주가 상승의 영향이 훨씬 더 큽니다.
2. 환율이 미국 주식 투자에 미치는 영향
2017년 환율이 1100원일 때 S&P 500에 투자했다면?
현재 2배 이상의 수익을 봤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핵심은
- 환율이 일시적으로 급등해도 결국 평균 수준으로 회귀하는 경향이 있음
- 주가는 장기적으로 상승하는 반면, 환율은 변동성이 클 뿐
- 환율을 이유로 투자를 미루는 것은 기회비용을 키우는 것과 같음
즉, 환율이 아니라 주식시장의 성장성을 봐야 합니다.
3. 원화 강세를 기대하기 어려운 이유
"지금 비싸니까 환율이 낮아지면 투자해야겠다"라고 생각하는 분들이 많습니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원화 강세를 기대하기 어렵습니다.
원화 강세가 어려운 이유
- 한국 경제 성장률: 1%대
- 미국 경제 성장률: 2~3%대
- 한국 금리는 미국보다 낮음
환율이 낮아지려면 한국 경제가 미국보다 빠르게 성장해야 하는데,
현재 상황을 보면 가능성이 높지 않습니다.
4. 환율보다 중요한 것은 주식시장 성장
- 환율이 1500원이든 1600원이든, 미국 주식시장은 계속 성장하고 있음
- 환율이 무서워서 투자를 미루면, 결국 더 비싼 가격에 살 가능성이 높음
- 원화만 보유하고 있으면 장기적으로 가치가 하락할 가능성이 큼
- 환율이 낮아지길 기다리는 동안, 미국 주식은 계속 오르고 있음
결국 환율 변동보다 장기적인 투자 원칙을 지키는 것이 중요합니다.
결론
환율이 1500원이라도 미국 주식 투자는 여전히 유효합니다.
미국 기업들은 글로벌 시장을 주도하고 있으며,
환율 걱정으로 투자를 미루는 것은 장기적으로 더 큰 손실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성공 투자의 공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 주식에 투자해야 하는 이유, 한국 주식보다 유리한 점은? (2) | 2025.02.01 |
---|---|
미국 철도회사, 왜 투자자들이 주목할까? (1) | 2025.02.01 |
워렌 버핏이 애플에 투자하는 이유: 배당과 자사주 매입으로 주주 가치를 극대화하다 (0) | 2025.01.31 |
한국 주식, 왜 쳐다보지 말아야 할까? (0) | 2025.01.30 |
워렌 버핏이 말하는 "사업의 본질" – 재무제표보다 중요한 것 (0) | 2025.01.29 |